국내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수가 9528명을 기록했습니다. 사망자는 8명 증가했으며 위중증 환자는 56명인데요. 앞서 정부는 코로나19 감염과 백신접종에 따른 면역 효과가 서서히 떨어지면서 6~7월부터 확진자 수가 반등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동량이 급증하는 여름 휴가철이 시작되면서 증가세가 더 빨라질 수 있다는 전망인데요.
이에 정부는 코로나19 재확산을 막기 위해 여름 휴가 전 백신 접종을 당부하고 있습니다. 특히 4차 접종의 경우 60세 이상 연령층의 위중증, 사망예방을 목표로 하며, 치명륭이 높은 80세 이상에 대해서는 적극 권고하고 있습니다.
최근 소위 '깡통전세'로 인한 피해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세사기의 한 유형인데요.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높은 서울 외곽지역이나 수도권의 빌라 등에서 자주 발생하죠.
이러한 전세사기 예방을 위해선 전세금반환보증에 가입하고, 적절한 가격인지 확인 할 필요가 있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이러한 깡통전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통 빌라의 경우는 투자가치가 높지 않아 이에 거주하려는 자는 매매보다는 전세를 선호하게 되어 전세가율이 높은 편입니다. 문제는 주로 사회초년생 내지 신혼부부들이 사회에 첫 발을 내딛으면서 보금자리로서 이러한 빌라 전세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데요.
전세 거래 경험이 부족한 이들에게 적절한 매매가보다 높은 전세가, 즉 깡통전세로 빌라를 넘기는 자들로 인한 전세사기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는 것이죠. 이러한 깡통전세는 거래 사례가 없는 신축빌라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건축주가 신축한 후 임차인은 모집하는 것처럼 위장을 하는데요. 임차인 입장에선 거래 사례가 없다 보니 적절한 매매가나 전세가를 산정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입니다. 이러한 일들을 돕기 위해 공인중개사의 말을 전적으로 믿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이용해 적절한 전세가액임을 주지시키는 것이죠.
전세계약이 이루어진 후에는 전세목적물인 빌라가 매각되면서 건축주는 빠지는데요. 이 때 건축주는 신용불량자나 노숙자,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들에게 수수료를 주면서 명의만 가져가면 된다고 하며 매매계약을 체결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깡통전세 계약이 이뤄진 후 건물 소유자가 신용불량자 등 무자력자로 바뀌게 되면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합니다. 가장 큰 피해를 입게되는 경우는 주택임대차 보호법에 따른 대항력 및 우선변제효를 받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이러한 대항력 및 우선변제효는 확정일자를 받은 다음 날부터 발생하는데요. 전세금 잔금이 지급된 날에 명의가 바뀌거나 근저당권이 설정되면 같은 날 확정일자를 받는다고 하더라도 대항력은 하루 뒤에 발생하게 되므로 전세권이나 보증금을 보호받을 길이 없는 것이죠.
만약 새로운 대항력 및 우선변제효를 받는다고 해도 문제는 남아 있습니다. 빌라의 새로운 소유자는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따라 임대인의 지위를 승계하는데요. 이러한 새로운 임대인은 보통 신용불량자인 경우가 많아 이들의 채권자들이 임대인의 새로운 재산인 빌라에 경매를 신청함으로써 생기는 문제이죠.
특히 이러한 임대인들은 건물 자체에 대한 세금조자 안 낼 가능성이 높아 이러한 세금은 경매에서 임대차보증금반환채권보다 먼저 받아가는 경우가 있어 보증금 전액을 돌려 받기 어렵게 됩니다.
경매로 넘어 가지 않는다고 해도 전세계약기간이 끝나면 보증금을 돌려 받기 어렵게 될 것인데요. 매매가액보다 높은 전세가액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세로 들어오려는 사람을 찾기도 어려울 뿐더러 임대인은 자력이 없기 때문에 보증금을 내 줄 형편도 안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전세사기 예방 방법은 전세금반환보증에 가입하는 것입니다. 집주인이 보증금 반환을 해주지 않으면 주택도시보증공사가 대신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내주고 집주인에게 구상권을 행사하는 상품인데요. 다만 전세금보증보험가입이 거절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임대차계약서 작성 시 전세금반환보증가입이 불가능할 때 계약금을 전액 돌려준다는 특약을 넣는 것이 좋습니다.
적절한 전세가액인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한데요. 공인중개사 사무소를 돌며 인근 부동산의 시세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또한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공개시스템이나 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기사 전문 보기 ▼
https://www.junggi.co.kr/article/articleView.html?no=28926
매매가보다 높은 전셋값 ‘깡통전세’ 피해 급증
<b>[김재윤 변호사의 부동산법]</b> 보통 빌라의 경우 투자가치가 높지 않아 이에 거주하려는 자는 매매보다는 전세를 선호하게 되어 전세가율이 높은 편이다. 문제는 주로 사회초년생 내지 신혼
www.junggi.co.kr
https://www.youtube.com/watch?v=jcl-mUVBTM4&t=166s
'법률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판이혼 고민이라면 재판상이혼사유 충족해야 (0) | 2022.07.08 |
---|---|
안심보장증서 통해 지주택조합원자격 박탈당했는데 탈퇴성공한 은평구지역주택조합 사례는 (0) | 2022.07.01 |
토지수용 보상가격 증액위해 토지전문변호사 찾는다면 (0) | 2022.06.24 |
불륜이혼 , 상간자 위자료 소송 원한다면 (0) | 2022.06.17 |
지역주택조합추진위원회 횡령 지역주택조합사기 등으로 계약취소 원한다면 (0) | 2022.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