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투기

세종시 기획부동산 투기, 임야 맹지 탈출요령은 요즘 사회적으로 부동산 시장이 참 시끌시끌하죠. 아무래도 LH직원의 3기 신도시 예정지역 부동산 투기 때문에 더욱 불이 붙기 시작했습니다. 이와 함께 뜨거운 이슈로 언급되는 것이 바로 광명/시흥, 세종시 기획부동산인데요. 이들은 일반적으로 개발이 불가한 임야 맹지를 싸게 매입하고 허위로 개발 호재를 거론하며 시세보다 비싸게 파는 사기행위를 저지르고 있습니다. 보통 일반인들은 맹지가 무엇인지 모르는 경우가 많아서 부동산 업체 직원의 일방적인 이야기만 듣고 지분을 매입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여기서 맹지는 도로와 맞닿은 부분이 전혀 없는 토지를 의미하며, 타 지번으로 토지의 사면이 둘러쌓인 소위 '자루형 대지'라고도 불리기도 하죠. 지적도상으로는 도로에서 직접 진입할 수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사람.. 더보기
기획부동산 땅투기 사기죄 고소방법은 요즘 광명·시흥 3기 신도시 지정 이후 기획부동산 땅투기 사기가 다시금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작년 10월 국정감사에서 경기도의 기획부동산 지분쪼개기 거래가 5년만에 3만건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자료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20년까지 매년 토지 지분거래가 증가하고 있다 합니다. 잇따른 사기피해로, 2020년부터 경기도를 중심으로 기획부동산 주의보가 내렸습니다. 부동산 가치상승에 따라 땅투기 원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기획부동산 사기가 판을 치기 시작했기 때문인데요. 선량한 시민들의 사기피해를 막고자 수원시는 최근 토지의 지분 거래가 성행하거나 성행할 우려가 있는 지역에 땅투기를 방지하기 위한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지정, 기획부동산으로 지정되어 있는 토지 근처에 지분거래를 주의하라는 문구.. 더보기